ARTIST 작가
김시현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회화과 졸업
인천대학교 서양화과 졸업
보자기는 본래 단순한 실용도구에만 그치지 않고 종교적 염원과 바램을 위한 주술적 도구이자 예절과 격식을 갖추기 위한 의례용 도구이기도 하다. 보자기를 살펴보면 천위에 복(福)이나 수(壽)와 같은 글을 넣어 행복과 장수를 비는 주술적인 소망을 담기도 하고 십장생, 용, 봉황 등과 같은 품위와 격 그리고 멋을 위한 소재로 여러 가지 색채와 문양을 넣기도 한다. 그러므로 보자기 그 자체가 기호와 상징 그리고 색채와 장식으로 구성된 예술품이자 주술적 도구이며 예를 갖춘 특별한 커뮤니케이션의 도구이기도 하였던 것이다. 다른 한편에서 살펴보면 선물을 보낼 때 선물에는 보내는 사람의 마음까지 담아 보냈던 것처럼 보자기라는 물건은 운반을 위한 수단이자 동시에 마음의 소통 도구였던 것이다.
- 김시현 작가노트 中
보자기는 본래 단순한 실용도구에만 그치지 않고 종교적 염원과 바램을 위한 주술적 도구이자 예절과 격식을 갖추기 위한 의례용 도구이기도 하다. 보자기를 살펴보면 천위에 복(福)이나 수(壽)와 같은 글을 넣어 행복과 장수를 비는 주술적인 소망을 담기도 하고 십장생, 용, 봉황 등과 같은 품위와 격 그리고 멋을 위한 소재로 여러 가지 색채와 문양을 넣기도 한다. 그러므로 보자기 그 자체가 기호와 상징 그리고 색채와 장식으로 구성된 예술품이자 주술적 도구이며 예를 갖춘 특별한 커뮤니케이션의 도구이기도 하였던 것이다. 다른 한편에서 살펴보면 선물을 보낼 때 선물에는 보내는 사람의 마음까지 담아 보냈던 것처럼 보자기라는 물건은 운반을 위한 수단이자 동시에 마음의 소통 도구였던 것이다.
- 김시현 작가노트 中
BIOGRAPHY 약력
전시이력
개인전
(서울, 부산, 광주, 전주, 분당, 안동, 청주, 무안, 판교, 일본, 마닐라 등. 2004년~현재)
주요 기획, 초대 단체전
2022 호리아트스페이스특별기획-우크라이나난미구호기금마련전 (호리아트스페이스, 서울)
2021 기획전시 서울로 미디어캔버스 회화이미지전-갤러리 박영 (서울만리동광장, 서울)
2021 THE SHIFT - 틈, 틔움 展 (갤러리 박영, 파주)
2019 초청기획-하이퍼리얼리즘 ‘자연과 미술展’ (울산문화예술회관, 울산)
2017 극사실주의展-Beyond the Limit (포스코 갤러리, 포항)
2016 때·時·色·깔 우리 삶에 스민 색깔 (국립민속박물관, 서울)
2015 Art Revolution Taipei (월드 트레이드 센터, 대만)
2012 공존과 소통 展 (울산문화예술회관, 울산)
2011 극사실회화-눈을 속이다展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2010 chocolate box-세상의 모든풍경전 (장흥아트파크미술관, 장흥)
2009 또 하나의 일상-극사실 회화의 어제와 오늘 (성남아트센터, 분당)
그 외 다수
커리어
주요 작품 소장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 / 서울시립미술관 / 경기도미술관 / 양평군립미술관 / 수원지방검찰청안양지청 / 주일 한국대사관저 / 중동 예멘대사관 / 신용보증기금본사 / 주필리핀 한국대사관저 / 한남더힐커뮤니티센터 / 바레인대사관 / 이월중학교 / 학성초등학교 / (주)가인철강 / (주)엘라스켐 / 호텔프리마 / 영일피혁 / (주)시몬느 / 코카-콜라 / 제주그랜드하얏트 / 박영장학문화재단
레지던시프로그램
2013~2014 ARTKIST 레지던시 제1기
<중학교 미술1>천재교과서 P.62 실림
<고등학교 미술창작>해냄에듀 P.51 실림
연구논문
보자기의 상징적 이미지를 통한 소통방법 연구
(2009년, 석사논문)
현재
세종대학교 출강
(2015~2021 백석예술대학교, 2015 건국대학교, 2013 인천대학교, 2010~2011 인천시민대학 강사역임)
WORKS 작품
2013
The Precious Message 2013
2022
The Precious Message 2022
2022
The Precious Message 2022
2013
The Precious Message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