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ST 작가
이창효
전통과실인 오얏 (자두) 을 주제로 화폭에 담았다. 자두 밭 에서 방금 수확한 듯한 싱싱함과 새콤달콤한 느낌을 표현 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자두표면에 가득한 싱싱함이 묻어나는 뽀얀 분 을 표현하는데 집중하였다. 푸른색의 자두 잎을 빨간 자두와 같이 구성함으로 보색대비의 효과로 자두의 싱싱함을 더 강조하고, 작품의 배경처리는 전통문살이미지나 기억을 주제로 한 모노톤의 비구상적인 이미지를 표현함으로 인해 주제가 돋보이도록 하는 효과를 주었다. 자두를 담은 그릇은 서민의 생활과 가까이 한 오래된 전통옹기나 함지박. 도자기 등 을 사용하여 따뜻하고 정 깊은 우리의 정서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기억 속에는 힘들었지만 따뜻한 정이 있었던 유년기의 기억. 고향의 향수. 그리고 장독위에 자식 잘되기를 바라는 염원으로 정한수를 떠놓고 비는 어머니, 장독의 이미지는 어머니를 떠 올리게 한다. 화면 가득 담긴 자두는- 부족함이 없는 풍요로움을 이야기하고, 그 풍요로움 은 고향이 주는 추억 가득함이다. 바쁜 현대인들의 마음에 고향의 기억들을 전해주고 고향에 대한 기억과 정을 자두를 통해 표현하고 있다. 자두작품의 붉은색은 우리의 전통색인 오방색의 하나로 집안에 걸어두면 나쁜 병 을 막아주고 잡귀와 악귀를 쫒는 의미로 쓰였으며. 가족의 건강을 기원하는 무병장수의 마음이 담겨져 있다. 강렬한 붉은색은 열정과 에너지 이것은 곧 희망을 이야기한다.
기억 속에는 힘들었지만 따뜻한 정이 있었던 유년기의 기억. 고향의 향수. 그리고 장독위에 자식 잘되기를 바라는 염원으로 정한수를 떠놓고 비는 어머니, 장독의 이미지는 어머니를 떠 올리게 한다. 화면 가득 담긴 자두는- 부족함이 없는 풍요로움을 이야기하고, 그 풍요로움 은 고향이 주는 추억 가득함이다. 바쁜 현대인들의 마음에 고향의 기억들을 전해주고 고향에 대한 기억과 정을 자두를 통해 표현하고 있다. 자두작품의 붉은색은 우리의 전통색인 오방색의 하나로 집안에 걸어두면 나쁜 병 을 막아주고 잡귀와 악귀를 쫒는 의미로 쓰였으며. 가족의 건강을 기원하는 무병장수의 마음이 담겨져 있다. 강렬한 붉은색은 열정과 에너지 이것은 곧 희망을 이야기한다.
BIOGRAPHY 약력
전시이력
개인전 35 회 (서울.부산.대구.용인.이천,영천.진주 외)
국 내외 아트페어 134 회
2인전 3회/ 3인전 3회
밀라노아트페어
홍콩아트페어 (홍콩컨벤션)
파리아트쇼핑아트페어 (파리 루브르)
중국중산국제아트페어 (손문기념관)
한국국제아트페어 KIAF (COEX)
서울아트쇼 (COEX)
서울오픈아트페어 (COEX)
아트부산 (BEXCO)
대구아트페어 (EXCO)
경남국제아트페어 (SECO)
울산아트페어 (KBS홀)
화랑미술제 (COEX)
수상 이력
조형아트서울 (COEX)
동대문어포더블아트페어 (DDP)
서울국제아트엑스포 (COEX)
대전국제아트쇼 (무역전시관)
부산국제화랑아트페어 (BEXCO)
광주국제아트페어 (김대중컨벤션)
경주아트페어 (HICO)
아트제주 (롯데호텔)
기타초대전,그룹전 200여회
대한민국미술대전 (국전) 연속 4회 특.입선
WORKS 작품
2020
[No 679] 자두-행복2020
2020
[No 716] 자두-풍요2020
2021
[No 803] 자두-행복2021
2021
[No 831] 자두-풍요2021
2022
[No 852] 자두-풍요W2022